도무송
후가공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방법 중 하나가 도무송입니다. 일본 사람들이 톰슨 가공법의 '톰슨' 발음이 안 되어 도무송이라고 한 것이 그대로 굳어져 사용하고 있습니다.
주로 종이 상자와 같이 모양을 내야 할 경우 필요한 형태의 칼선을 만들어 가공을 하게 되는데 이렇게 모양을 칼로 따내거나 표지 같은 부분에 콘셉트로 구멍을 뚫는 등의 작업을 대부분 도무송이라고 부릅니다.
도무송 작업을 하려면 칼선이라는 목형이 있어야 합니다. 예를 들어, 별 모양의 책을 만든다고 한다면 일반 용지에 인쇄를 한 후 별모양으로 오려내야 하는데 일일이 수작업으로 오려내는 방식이 아니라 별 모양의 칼선을 만들어 한 번에 잘라내는 게 도무송입니다.
칼선을 최초로 만들 때 칼선 추가 비용이 필요하기 때문에 예산과 제작의 한계를 잘 예측해야 합니다. 청첩장, 크리스마스 카드, 유아용 책자는 대부분 종이에 모양을 내야 해서 도무송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도무송을 사용할 때는 두껍고 평량감이 높은 종이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종이가 두껍지 않으면 도무송을 따면서 종이가 밀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형압
사전에 디자인한 동판을 가지고 형압 기계를 이용해 종이 특정 부분에 압력을 가하여 양각 또는 음각의 효과를 주는 방식입니다. 내지보다는 표지에 많이 사용하고 종이에 질감을 살리면서 입체감을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고급스러움이 느껴지는 종이에 사용하면 잘 어울립니다. 책 표지에서 글씨나 이미지에 형압을 적용할 경우, 표현하고자 하는 부분이 더욱 강조됩니다.
인쇄할 때 용지 한 장에 인쇄물을 몇 개를 앉히느냐에 따라 동판 수량이 달라지며 크기, 수량 등에 따라 가격이 달라집니다. 형압은 너무 많이 튀어나오게 하면 종이가 터질 위험이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그리고 두꺼운 종이를 사용하면 튀어나오는 형압 엠보 효과가 더욱 좋습니다. 뒷면에 형압을 누른 자국이 나타나기 때문에 뒷면 디자인 영역은 포기하는 것이 좋습니다. 종이의 고유한 질감을 나타내면서 입체감으로 도드라진 효과를 내고 싶을 때 사용하면 좋습니다.
엠보(에폭시)
형압 인쇄와는 다르게 종이 뒷면에 형압 자국이 남지 않으며 형압으로 튀어나온 부분이 에너멜처럼 반짝이는 후가공 기법으로 잡지와 단행본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인쇄 후에 원하는 글씨나 마크, 로고 혹은 필요한 부분에 에폭시 소재의 엠보를 처리하여 반짝이고 도드라져 보입니다. UV 코팅과 비슷하나 액체류를 이용하여 특정 부분을 볼록하게 만드는 것으로, 책 표지 제목이나 그림 및 삽화 등에 많이 활용합니다. 복잡하지 않은 문양이나 큰 제목과 같이 넓은 면적에 사용하면 효과적입니다.
후가공을 위해서 별도의 판을 만들어야 하며 가는 선이나 작은 글자에는 엠보싱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습니다. 에폭시 효과로 엠보싱을 나타내고 싶으면 해당 형태의 먹 100% 벡터 방식 일러스트로 필름판을 만들어야 합니다.
코팅
- 무광&유광써멀 코팅(라미네이팅) : 인쇄물의 표면에 필름을 입혀 코팅처리함으로써 무광 또는 유광으로 광택을 나게 하고 수명을 길게 하는 코팅으로 특히 열에 의한 코팅은 점착제가 필요없는 환경친화적 코팅방식으로 모든 종류의 인쇄물에 깔금한 접착이 이뤄지며, 미세기포가 없는 장점이 있습니다.
- UV 코팅 : 경화액을 표면에 바르고 자외선 램프를 통과해서 코팅되는 방식으로 친환경적이기 때문에 분리수거 하지 않아도 됩니다. 제작은 무광 유광 코팅보다 저렴하며 필름 코팅막을 사용하지 않아 적은 힘으로도 찢어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미싱
절취를 해야하는 인쇄물의 경우 절취하기 쉽도록 인쇄물에 점선으로 미리 재단을 해 놓는 가공방법으로 홍보물이나 티켓등에 주로 사용됩니다.
누름(오시)
인쇄물을 접어야 되는 경우 그 부분에 주는 누름 자국 가공방법으로 두꺼운 종이는 오시를 주어야 접었을 때 터지지 않고 잘 접히게 됩니다. 주로 책이나 리플렛을 제작할 때 사용됩니다.
박
금, 은 착색박을 대용품으로 얇게 펴서 철판이나 알루미늄판으로 압을 가하여 인쇄하는 가공법입니다. 처음에는 상장 등에 쓰였지만 고급 서적표지, 명함, 가드등 다양한 상품에서 박가공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참고로 데이터를 인쇄판에 얹히는 방법으로는 합판 인쇄와 독판 인쇄가 있습니다.
합판 인쇄
저렴한 제작비로 인쇄해야 하는 경우, 인쇄 색상에 구애받지 않는 경우, 특별한 후가공이 없으며 대량으로 주문하는 경우에는 합판 작업을 하며 일반적으로는 합판 인쇄를 사용합니다. 다른 주문건과 같이 작업을 공동으로 진행하므로 독판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지만 다른 데이터의 영향을 받아 원하는 색상에 대한 만족감이 떨어질 가능성이 있고, 원하는 매수가 정확히 나오지 않을 수 있습니다.
※ 합판 인쇄 비용 산출 = (지류비 + 출력비+ 판비+ 인쇄비+ 재단비) / n(업체 수)
독판 인쇄
색상에 비중을 많이 두는 인쇄물의 경우, 재인쇄할 때도 동일한 색상이 필요한 경우, 후가공 공정이 정확해야 하는 경우, 정확한 수량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독판 작업을 합니다.
원하는 크기, 용지, 색상, 후가공 등의 제한 없이 모든 인쇄물을 만들 수 있지만 단독 작업으로 비용이 합판 인쇄에 비해 비쌉니다.
'디자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색채의 지각 (0) | 2022.06.23 |
---|---|
색의 본성 (0) | 2022.06.17 |
인쇄의 종류 (0) | 2022.06.15 |
출력 파일을 보내기 전에 주의할 점 (0) | 2022.06.10 |
편집 디자인 필수요소인 종이 (0) | 2022.06.07 |